국립 미륵사지 유물전시관
여행, 낯선 세상속으로/국내여행
멀리 정면으로 보이는 저 건물은 익산 미륵사지에 있는 '국립 미륵사지 유물전시관'이다.
국립박물관인 이 유물전시관에는 미륵사지를 발굴하면서 출토된 유물들과 자료를 전시해 놓은 곳이다.
미륵사는 백제 무왕이 지은 것으로, 사탁적덕의 딸인 왕비가 발원해서 짓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.
통일신라시대 초기에 규모가 더 커진 미륵사는 조선 중기인 1600년경까지 사찰의 기능을 해오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.
소실된 채로 방치되어 있던 미륵사지에 관한 연구는 1970년 이후 시작되었다.
그 결과, 미륵사지의 전체 규모와 가람배치가 확인되었고, 2만점이 넘는 문화재가 발굴되었다.
특히, 2009년 미륵사지 석탑 보수과장에서 발굴된 사리장엄구는 미륵사 건립배경과 백제 불교문화의 우수성을 확인시켜주는 유물이다.
위 정보는 모두 미륵사지 유물전시관에서 알게 된 것이다.
무엇보다 미륵사지 유물전시관에서 옛날 미륵사지의 원래 모습을 재현해 놓은 미니어쳐를 본 것은 정말 좋았다.
현재까지 존재하는 미륵사지 석탑의 거대한 규모를 가만한다면, 이 절의 규모가 얼마나 컸을지 상상이 간다.
실로 엄청난 절의 규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.
범종 모양을 하고 있는 이 유물은 작은 종이다.
미륵사지에서 출토된 금종으로 한눈에 보아도 익숙한 모습이다.
이 종은 후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에밀레종(선덕대왕신종)의 기원이 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귀중한 유물이다.
이 귀여운 표정의 유물은 '귀면와'이다.
귀면와는 '귀신 형상을 한 기와'라는 뜻이다.
귀신 형상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귀엽기만 하다.ㅋㅋ
통일신라시대의 유물로, 후대에 지은 남회랑지에서 출토된 것이란다.
남회랑은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미륵사지의 중심 건물인 삼원가람 앞에 만든 것이다.
이것도 기와에 쓰인 것으로 얼굴무늬를 한 수막새이다.
역시 통일 신라시대의 것이다.
이 '토우'는 동연못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고려시대의 것이다.
유물전시관에는 이것들 외에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귀중한 유물들이 다량 전시되어 있다.
미륵사지를 구경간다면, 이 유물전시관을 꼭 다녀오길 권한다.
우리는 게다가 운좋게 가이드의 설명을 일부 들을 수 있었는데, 역사해설가님의 설명은 정말 유익했다.
게다가 관람비가 무료이다.
이렇게 멋진 유적지와 박물관이 무료라는 게 믿기지 않는다.
관람시간을 작 기억했다가 참고하시길 바란다.
'여행, 낯선 세상속으로 > 국내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히로쓰가옥, 군산 일본식 주택 (0) | 2017.09.21 |
---|---|
익산 왕궁리 유적, 백제왕궁터 (0) | 2017.09.19 |
모악산 산행, 전북 완주군 모악산 (0) | 2017.09.17 |
국립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(0) | 2017.09.16 |
익산 미륵사지 석탑 (0) | 2017.09.06 |
전주 어진박물관 (0) | 2017.09.04 |
옥성서원, 방치되고 있는 지방문화재 (0) | 2017.08.30 |
경기전, 전주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 (0) | 2017.08.25 |
댓글을 달아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