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여행, 낯선 세상속으로/국내여행

전주동헌과 고택(조선시대 한옥)들

반응형

​이것은 전주 한옥마을에 있는 '전주동헌'의 모습이다.

'동헌'은 조선시대 지방 수령이 근무했던 관청으로, 오늘날로 치면 지방의 행정부와 사법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다. 

​풍락헌, 혹은 음순당으로 불리는 이 건물은 1890년 화재로 소실된 것을 1891년(고종28년)에 새로 지었다.

일제강점기 조선말살정책을 펴면서 1934년 민간에 매각되었다가 2007년 지금의 자리로 돌아왔다고 한다.

​이 작은 문은 동헌으로 들어가는 쪽문이다.

이 문을 지나면, 전주시에서 매입해 돌보고 있는 전북지역의 고택(전통 한옥)들이 나타난다.

​이 한옥은 '일송 장현식 고택'(안채)이다.

독립운동가였던 일송 장현식(1896~1950)선생이 1932년 김제 금구면 서도마을에 건축한 전통한옥으로 목재가공의 수준이 정교해 전통한옥으로서 건축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.

​이건 '정읍고택'(별채)이다.

'정읍고택'은 보천교를 창시한 월곡 차경석(1880~1936)이 정읍 대흥리에 세운 50여채의 보천교 본당 부속건물 중 하나이다.

1936년 보천교가 해체된 뒤, 내장산으로 옮겨져 사용되었다.

ㅁ자형 한옥으로 보온효과를 높이고 바람을 막으려는 북부지방의 한옥 양식으로, 중부지방 이남에서는 보기 드문 건축물이다.

​'정읍고택'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.

중부이남에서 ㅁ자 양식은 보기 힘들다는데, 중부지방에서 이런 식의 한옥은 정말 흔하다.

나는 이 고택이 정말 마음에 들어, '이런 데서 살면 좋겠다'는 생각을 했다.

별채답게 부엌과 여러 개의 방, 대청과 툇마루 등 한옥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골고루 담긴 건물이다.

​이 한옥은 '임실 진찬봉 고택'(사랑채)으로, 임실군 임실읍 성가리에 소재한 진참봉댁 사랑채를 옮겨온 것이다. 

180여년 전에 건축된 것으로 추정된다.

진참봉댁 안채는 용인민속촌 조성 당시 매각되어 이축되었으며, 철거예정이던 이 건축물을 전주시가 온전하게 옮겨왔다.

​'임실 진참봉 고택'을 멀리서 한 컷에 담아보았다.

아주 단정하면서 잘 생긴 한옥이다.

임실 진참봉 고택의 쪽마루!

나는 이 툇마루에 앉아 지나가는 비가 그치기를 바라며, 잠시 앉아있기도 했다.


자칫 사라질 수도 있는 조선시대 한옥들이 옮겨와 잘 보존되고 있는 것이 너무 감사한 마음이다.

전주시는 자기 시의 트랜드를 한옥으로 정하고, 그것을 지키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참 잘 하는 것 같다.

특히, 전북 지역에 있는 귀한 한옥들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현장을 여기서 보았다.

전주에 와서 상업적인 전주 한옥마을을 즐기는 것에 멈추지 말고 꼭 짬을 내서 '전주동헌'과 그 주변에 있는 '진짜 한옥'들을 구경하길 바란다.

진짜 매력적인 전주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