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선배가 앞에 서서 구령을 붙이면 후배 도우님들이 그 구령에 맞춰 함께 하는 식인데, 항상 열심이시다.
이날은 이른 아침 수련 뒤라서 수련을 마치고 기신법까지 모두 하기에는 출근 시간에 쫓기시는 분이 많아 세 명뿐이었지만, 평소 다른 시간에는 훨씬 많은 도우님들이 참여하고 있다.
기신법은 행공을 하면서 모은 기운을 각 장기를 보내는 운동법이다.
모든 동작은 다섯 가지에 좌진과 우진으로 이루어졌는데, 각각 강화시켜 주는 장기들이 따로 있다.
하나하나 장기와 연결된 경락을 자극하는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다.
위 동작은 수법으로, 수법은 '신장'과 '방광'을 튼튼하게 해주는 동작이다.
이 동작은 화법의 좌진! 심장을 강화시켜주는 동작이다.
화법의 우진은 소장을 튼튼하게 해준다.
다음은 목법!
목법의 좌진은 간을, 우진은 담(쓸개)를 강화시켜 주는 동작이다.
이 동작은 금법의 좌진으로 폐를 강화시켜주는 동작이다.
금법의 우진은 대장 강화운동이다.
이 동작은 토법의 좌진! 비장을 강화시켜 준다.
토법의 우진, 위장을 튼튼하게 해 준다.
반응형